벼과 / 상록 활엽 / 다년생, 단자엽식물(나이테가없다) / 높이 20m(추운 곳에서는 높이 3m, 지름 1cm) / 왕대 꽃말 : '정절,신념'
나무처럼 곧게 자라는 대나무는 벼과(科)에 속한다. 상록성 목본처럼 키가 큰 풀로 나무가 아닌 초본식물이다. ‘대’라고 약칭하기도 하며 한자어로는 죽(竹)이라고 한다. 대나무류는 전세계에 12속 500여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해장죽속·왕대속·이대속·조릿대속의 4속 14종류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장려되고 있는 죽류는 왕대[苦竹]·솜대[淡竹]·맹종죽(孟宗竹)의 3종이며, 이 중에서도 왕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나무는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음지보다 양지를 좋아하며 1년 동안 20m까지도 자라는데, 생장은 그것으로 완료되며 이후 2-3년에 걸쳐 더 견고해진다. 한 번 꽃을 피우고 난 후에는 고사하므로 그 지역이 모두 폐죽림이 된다.
▶ 대나무 잎은 3 ~ 7개(흔히 5 ~ 6개)씩 달리고 피침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10 ~ 20cm × 12 ~ 20mm로 잔톱니가 있고 견모는 5 ~ 10개가 개출되어 오랫동안 남아있다.
▶ 대나무 꽃: 꽃차례는 길이 5 ~ 10cm이고, 포는 거꿀달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에 달린 잎몸은 달걀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10 ~ 30mm로, 각 포에 1 ~ 5개의 암수한꽃과 암수딴꽃이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3c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 ~ 4mm로 연모가 있으며 4월에 드물게 개화한다. 대나무류의 꽃은 주기적으로 피는데 그 간격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조릿대는 5년, 왕대·솜대는 60년을 주기로 피는데, 대개 꽃이 피면 모죽(母竹)은 말라죽게 되고 대밭은 망한다. 이는 개화로 인하여 땅속줄기의 양분이 소모되어 다음해 발육되어야 할 죽아(竹芽)의 약 90%가 썩어버리기 때문이다. 나머지 10%만이 회복죽이 되므로 개화 후에는 죽림을 갱신하여야 한다.
▶ 대나무 열매는 밀알모양이며 5월 ~ 6월에 성숙한다.
▶ 대나무 줄기: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되고, 포는 일찍 떨어지며 털이 있고, 잎몸이 있다.
▶ 대나무 뿌리: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어나가며 6월에 죽순이 나오는데 죽순 껍질에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 대나무 번식방법
땅속줄기, 근주, 모죽, 죽묘법에 의해 번식한다. 번식방법은 3월경에 대나무를 굴취하여 이식하거나, 죽묘를 생산하여 증식한다.
▶ 대나무 이용방안
- 식용하며 또한 공업용으로도 쓰인다.
- 줄기를 세공용 자재로 쓰인다.
- 관상용으로 집 주변에 심는다.
- 방풍죽림 조성에도 적당하다.
- 키가 작은 오죽, 조릿대의 어린 줄기는 먹지 않으며 왕대의 어린 줄기를 죽순이라 하여 먹는다.
▶ 대나무 효능
根莖(근경) 및 根(근)을 斑竹根(반죽근), 花(화)는 斑竹花(반죽화), 筍(순)의 皮(피)는 斑竹殼(반죽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斑竹根(반죽근)
①9-10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祛肺寒(거폐한)의 효능이 있다. 氣喘痰咳(기천담해), 四肢筋骨(사지근골)의 頑固痛(완고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斑竹花(반죽화) - 猩紅熱(성홍열)을 치료하는데 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斑竹殼(반죽각) - 淸血熱(청혈열)에 효능이 있다. 불에 구워 재(灰)로 만들어 복용하면 發疹(발진)을 透疹(투진)시킨다. 6-9g(털은 제거)을 달여서 복용한다. 불에 구워 재로 만들어 沖腹(충복)한다.
▶ 대나무 유사종
- 포대죽(P. aurea) : 중국 원산으로 여러 곳에서 식재한다. 줄기는 연한 황색이며 마디가 기부에서는 밀집되어 있다.
- 대명죽(Pleioblastus Granineus)
- 한산죽(P. hindsii)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다? 풀과나무의 차이점 ◎
1. 풀은 한해살이식물이고 나무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2. 풀은 나이테가 없다.
3. 풀은 줄기가 굵어지지 않는다
* 윤선도(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에 나오는 “나모도 아닌거시 풀도 아닌거시/곳기ᄂᆞᆫ 뉘시기며 속은 어니 뷔연ᄂᆞ다/뎌러코 사시에 프르니 그를 됴하 ᄒᆞ노라.”라는 시조는 대나무의 성격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 출처: 국립수렵원 -
🌳 관련기사 읽어보기
대나무를 둘러싼 논쟁, 목본류인가? 초본류인가? [라펜트 조경뉴스]
대나무는 현재 식물분류학상 벼목 화본(禾本科, 벼과)과 죽아과(竹亞科)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초본류로 분류돼 있다. 이런 이유로 대나무는 건축법 제42조 ‘대지의 조경’에 따라 식재수량 .
www.lafent.com
대나무는 나무인가요? - 나무신문
[나무신문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팀] 무더운 여름, 요즘은 에어컨과 선풍기가 있어 시원하게 보낼 수 있으나 이것이 없었을 시절 우리를 시원하게 해주었던 생활용품 중에 죽부인과 대나무
www.imwood.co.kr
왕대-일락일지 - 서귀포신문
지금은 흔적조차 없지만, 동네에 왕대왓이 몇 군데 있었다. 할망네 우영에 왕대가 많았다. 다른 곳과는 달리 쉬운 대왓이었을까, 대나무 아래 작은 길이 떠오른다.한 번은 그곳에서 어떤 아이와
www.seogwipo.co.kr
서걱서걱’ 바람소리···보기만해도 시원한 대나무숲 4곳
한해 120만 명이 찾기에 대숲보다 사람 구경을 더 많이 한다는 담양 죽녹원과 달리 한적한 분위기에서 죽림욕을 즐길 만한 대숲 4곳을 골랐다. 거제 맹종죽테마파크 대나무 세 뿌리가 일군 기적 1
news.joins.com
[나무 이야기] 대나무
火病·혈액순환·숙취해소 등에 좋아
monthly.chosun.com